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국제경제동향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경제
  4. 국제경제동향
글자크기

[경제동향] [탄자니아] 주간 경제동향 ('25.01.27.~02.02.)

부서명
유럽경제외교과
작성일
2025-02-07
조회수
303

(정보제공 : 주탄자니아대사관)



탄자니아 주간 경제동향('25.01.27.~02.02.)



가. 호주 광산회사, 니안자가(Nyanzaga) 금광 사업 협상 지연으로 최종투자결정 연기


  ㅇ 2024.5월 므완자 소재 니안자가(Nyanzaga) 금광 개발사업* 개발권을 인수한 호주 Perseus Mining은 금광 개발을 위한 최종타당성 조사(Definitive Feasibility Study)와 사업 기본설계(Front-End Engineering Design, FEED)를 준비중임.


  ㅇ 상기 관련, 탄자니아 정부와의 수익 분배 조항 협상이 장기화되고 있으며, Perseus는 2025.1월로 계획된 바 있는 최종투자결정(FID)의 연기를 발표함.


      * 므완자 지역 내 첫 대규모 금광 개발 사업으로 약 280만 온스 매장 추정


    - FID는 올해 하반기경 발표될 예정이라고 하며, 실제 금 생산은 2027년 초로 예상하고 있음.


  ㅇ 업계 관계자들은 협상이 장기화될 경우 정부의 세수 손실, 지역사회 고용기회 감소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미래 투자자들에게도 부정적인 신호를 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를 표하고 있음.


나. 탄자니아 정부, 부룬디와 표준궤도철도(SGR) 7공구 건설 계약 체결


  ㅇ 탄자니아 정부는 1.29(수) 부룬디 정부와 표준궤도철도(SGR) 7공구 건설 계약(탄자니아 우빈자(Uvinza)-부룬디 무송가티(Musongati), 282km)을 체결함.


    - 동 사업은 21.54억불 규모(3조128억 원)로 향후 6년간 중국 국영기업 중국철도공정총공사(CREGC)와 중국철도공정설계원(CREDC)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시공사로 참여할 계획임.


  ㅇ 재원 조달 관련,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은 2023.12월 6.9억불(1조63억 원)을 지원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으며, 이중 9천8백만불(1,429억 원)은 부룬디에 무상원조로 나머지 5.97억불(8,708억원)은 탄자니아에 차관으로 지원할 계획임.


    - 또한 AfDB는 7공구를 포함하는 SGR 2단계사업*에 주요 주간사(Initial Mandated Lead Arranger)로 상업은행, 개발금융기관(DFI), 수출신용기관(ECA), 기관 투자자 등과 신디케이션을 구성하여 최대 32억불(4조6,640억 원)을 조달할 계획임.


      * SGR 2단계사업은 길이 651km, 3구간으로 △6공구(탄 Tabora-탄 Kigoma), △7공구(탄 Uvinza-부 Malagarasi), △8공구(부 Malagarasi-부 Musongati)


      ※ 탄자니아 철도청(TRC)은 2023.11월 스탠다드차터그룹, 중국 수출입은행(SINOSURE)과 재원 조달에 합의했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구체 금액과 기간은 미공개


다. 잔지바르 전력청(ZECO), UAE, 중국 기업과 풍력발전개발 사업 개시


  ㅇ 잔지바르 전력청(ZECO)은 1.24(금) UAE 에너지기업 Aseel Oil field Services사 및 중국 재생에너지기업 Sany Renewable Energy사와 잔지바르 북부지역에 200MW 규모 풍력발전개발사업을 추진하는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함.


    - 동 사업은 2단계로 실시되며, 1단계 사업으로는 운구자 섬에 100MW, 펨바 섬에 20MW 규모 풍력발전소를 2026.1월까지 설치할 계획임. (2단계 세부사항 미공개).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럽경제외교과, 다자경제기구과
전화
02-2100-7665, 02-2100-7733